중국OTT시장분석 및 글로벌 전략



 

중국 OTT 시장 분석 및 글로벌 전략

시장 개요 및 성장 현황


중국 OTT(Over-The-Top)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42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전년 대비 15.2%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 OTT 시장에서 약 28%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수치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를 자랑합니다.


중국의 온라인 비디오 이용자 수는 2024년 10월 현재 약 10억 7천만 명에 달하며,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98.3%가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 모바일을 통한 접속 비율이 99.6%에 달해 모바일 우선 시장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주요 플랫폼별 월간 활성 사용자(MAU) 현황을 살펴보면:

  • 아이치이(iQiyi): 4억 9천만 명 (시장점유율 23.8%)
  • 텐센트 비디오: 4억 7천만 명 (시장점유율 22.6%)
  • 요우쿠(Youku): 3억 2천만 명 (시장점유율 15.4%)
  • 망고TV: 2억 8천만 명 (시장점유율 13.5%)
  • 빌리빌리(Bilibili): 3억 4천만 명 (시장점유율 16.4%)


중국OTT플랫폼들
중국OTT플랫폼들


시장 성장 동력 분석


🔸1. 기술 인프라의 발전

중국의 5G 상용화는 OTT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5G 기지국 수는 373만 개를 돌파했으며, 5G 사용자는 8억 8천만 명에 달합니다. 이로 인해 4K/8K UHD 콘텐츠 스트리밍이 본격화되었고, 평균 스트리밍 품질이 2022년 720p에서 2024년 1080p로 향상되었습니다.


광섬유 인터넷 보급률 또한 97.3%에 달해 안정적인 스트리밍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 인터넷 속도는 43.9Mbps로 전년 대비 18.7% 증가했습니다.


🔸2. 콘텐츠 투자 확대

중국 OTT 업계의 콘텐츠 제작 투자 규모는 2024년 약 18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0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입니다. 


플랫폼별 연간 콘텐츠 투자 현황은:


  • 텐센트 비디오: 52억 달러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 43%)
  • 아이치이: 48억 달러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 39%)
  • 요우쿠: 31억 달러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 35%)
  • 망고TV: 25억 달러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 58%)

특히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2024년 오리지널 콘텐츠가 전체 시청시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4.2%로 처음으로 50%를 넘어섰습니다.


🔸3. 사용자 행동 패턴의 변화

중국 OTT 사용자들의 평균 일일 시청 시간은 117분으로, 2023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면:


  • 18-25세: 평균 148분/일, 단편 콘텐츠 선호 (67%)
  • 26-35세: 평균 132분/일, 드라마 시리즈 선호 (72%)
  • 36-45세: 평균 95분/일, 예능/다큐멘터리 선호 (58%)
  • 46세 이상: 평균 78분/일, 뉴스/시사 프로그램 선호 (71%)

또한 구독형 서비스(SVOD) 이용자 비율이 78.4%로 증가했으며, 평균 구독료는 월 15.6달러로 전년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주요 플랫폼별 전략 분석



🔸아이치이 (iQiyi)

  • 연매출: 42억 달러 (2024년)
  • 유료 구독자: 1억 580만 명
  • 핵심 전략: AI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으로 개인화 정확도 89.7% 달성
  • 글로벌 진출: 동남아시아 8개국 진출, 현지 MAU 2,300만 명

🔸텐센트 비디오

  • 연매출: 38억 달러 (2024년)
  • 유료 구독자: 1억 240만 명
  • 핵심 전략: 게임-영상 콘텐츠 연계를 통한 IP 생태계 구축
  • 글로벌 진출: WeTV 브랜드로 20개국 서비스, 글로벌 사용자 4,800만 명

🔸빌리빌리 (Bilibili)

  • 연매출: 23억 달러 (2024년)
  • 유료 구독자: 3,200만 명
  • 핵심 전략: Z세대 타겟 UGC 플랫폼, 월평균 업로드 콘텐츠 1,200만 개
  • 특징: 실시간 댓글 시스템으로 사용자 참여율 94.2%



글로벌 진출 전략 및 성과


지역별 진출 현황


🔸동남아시아 시장

  • 시장 규모: 58억 달러 (중국 OTT 점유율 31.2%)
  • 주요 성과: 현지 언어 더빙 콘텐츠 2,400편 제작
  • 월 평균 시청 시간: 87분 (현지 평균 대비 23% 높음)

🔸중동 및 북아프리카 (MENA)

  • 시장 규모: 12억 달러 (중국 OTT 점유율 8.7%)
  • 현지화 전략: 아랍어 자막 제공률 95%, 문화적 콘텐츠 편집
  • 주요 콘텐츠: 액션, 로맨스 장르가 전체 시청의 68% 차지

🔸남미 시장

  • 시장 규모: 34억 달러 (중국 OTT 점유율 4.3%)
  • 성장률: 연평균 42.7% (2022-2024)
  • 현지 파트너십: 브라질 Globo, 멕시코 Televisa와 콘텐츠 공급 계약

콘텐츠 현지화 전략


중국 OTT 기업들은 해외 진출 시 현지화에 연간 평균 12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 더빙 및 자막: 38개 언어로 콘텐츠 현지화
  • 문화적 적응: 종교적, 문화적 민감성을 고려한 콘텐츠 편집
  • 현지 제작: 해외 현지 제작 콘텐츠 비중 27% (2024년 기준)

기술 혁신 및 차별화 전략


AI 및 빅데이터 활용

  • 개인화 추천 시스템 정확도: 평균 87.3%
  • 실시간 콘텐츠 분석: 시청 패턴 분석을 통한 콘텐츠 최적화
  • 투자 규모: AI 기술 개발에 연간 28억 달러 투자

인터랙티브 콘텐츠

  • 인터랙티브 드라마 제작: 2024년 143편 (전년 대비 89% 증가)
  • 사용자 참여율: 인터랙티브 콘텐츠 평균 완주율 76.4%
  • VR/AR 콘텐츠: 월 평균 신규 콘텐츠 85편 제작

라이브 스트리밍 통합

  • 라이브 커머스 연동: 2024년 거래액 145억 달러
  • 실시간 시청자 수: 피크 시간대 평균 2,300만 명 동시 접속
  • 수익 기여도: 전체 플랫폼 수익의 32.7%

경쟁 환경 및 시장 동향


🔸주요 경쟁 요소

  1. 콘텐츠 품질: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경쟁 심화
  2. 기술 혁신: AI, 5G 기술을 활용한 차별화
  3. 가격 경쟁: 구독료 인하 압박 지속 (평균 마진율 8.3%)
  4. 글로벌 확장: 해외 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 확대

🔸규제 환경 변화

  • 콘텐츠 심의 강화: 2024년 심의 거부율 12.7%
  • 데이터 보안 규제: 개인정보 보호 투자 연간 15억 달러
  • 해외 진출 제한: 일부 민감 지역 진출 제한 정책

미래 전망 및 기회 요인


🔸시장 성장 예측

  • 2025년 시장 규모: 498억 달러 전망 (YoY 17.2% 성장)
  •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4.8% 예측
  •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27년 35% 달성 목표

🔸새로운 성장 동력

  1. 메타버스 콘텐츠: 가상현실 콘텐츠 시장 진입
  2. NFT 연계 서비스: 디지털 자산과 연계된 프리미엄 콘텐츠
  3. 교육 콘텐츠: 에듀테크와 결합한 학습형 콘텐츠 확대
  4. 헬스케어: 건강 관리와 연계된 웰니스 콘텐츠

🔸도전 과제

  • 콘텐츠 제작비 상승: 연평균 인상률 18.5%
  • 글로벌 규제 대응: 각국 법규 준수 비용 증가
  • 기술 인재 확보: AI/데이터 전문가 연봉 상승률 22.3%

결론 :


중국 OTT 시장은 강력한 기술 인프라, 대규모 사용자 기반, 그리고 적극적인 해외 진출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과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 현지화된 콘텐츠 전략, 그리고 다양한 수익 모델의 개발이 향후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 증가하는 콘텐츠 제작비, 그리고 각국의 규제 강화 등의 도전 과제도 동시에 직면하고 있어, 지속적인 혁신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향후 3-5년간 중국 OTT 기업들의 글로벌 전략 실행 능력이 시장에서의 최종적인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 이전